-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e-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Work Experience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정선리(Seolri Jeong)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245~26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 참여자의 직업 경험, 교육 수준, 선호 기업 특성을 분석하여 참여자 간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미래내일 일경험사업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직무 교육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에서 맞춤형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4년 7월부터 10월까지 미래내일 일경험 참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SPSS Ver.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고, 빈도 분석을 통해 기본적인 참여자 특성을 파악한 후,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교육 차이를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빈도 분석을 통한 직무교육 대상자의 특성파악 결과, 취업준비생이 8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직업 경험에서는 직무교육(F=2.778, p=.028)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기업에 따라 직무교육(F=4.146, p=.017)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이 조사 대상자의 대다수가 취업준비생임을 보여주며,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 취업 서비스가 이들에 초점을 맞출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by analyzing the job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preferred compan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the future tomorrow work experience project.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future tomorrow work experience project and to propose a customized approach i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job training program. From July to October 2024,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articipants of future tomorrow work experienc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2.0 statistical program.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5, and after grasping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job trai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job training subjects through frequency analysis, job seeker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80%, and job training (F=2.778, p=0.028) was found to have differences in job experience.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job training (F=4.146, p=0.017) depending on the preferred company. This study shows that the majority of those surveyed for the Future Tomorrow Work Experience Project are job seekers, and suggests the need for policy and support programs and related employment services to focus on th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