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Rural Area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Parent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지나(Jina Lee) 황명진(Myungjin Hwang) 박소영(S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225~2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한국 농어촌의 급격한 고령화와 저출산은 농어촌의 인구 감소와 학령인구 급감이 심각한 농어촌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농어촌 학령인구는 1970년대 60.7%에서 2022년 16.6%로 감소하였으며, 학령인구 감소는 교육환경의 악화와 도시와의 교육격차 심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격차는 농어촌 학생들의 지역 이탈을 가속화하며, 농어촌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의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어촌 교육환경의 실태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농어촌 특화 교육정책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와 정책을 검토하여 농어촌 지역 특성을 반영한 요인을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농어촌 교육환경과 보호자 관점에서 살펴본 교육정책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맞춤형 교육 지원 정책 수립에 필요한 데이터 기반을 제공하고, 농어촌 교육격차 해소와 학업 성취도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교육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균형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rapid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s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have led to severe depopulation and a sharp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posing significant challenges for these regions. The proportion of school-age children in rural areas decreased from 60.7% in the 1970s to 16.6% in 2022. This decline has exacerbated the deterio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wide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uch disparities accelerate the outmigration of rural students, hinder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se communities. This study aims to address educational challenges in rural area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rural-specific education policies. To achieve this, existing research and policies were reviewed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ural regions, and alternative solutions were proposed. The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direction for improving education policies from both the perspective of the rur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parents’ viewpoints. Through this research, we aim to provide a data-driven foundation for formulating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offering concrete strategies to bridge the rural-urban education gap and enhance academic achievement. Ultimately, improv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tudents in rural area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sustainable community growth.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