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Korean Comics and Webtoons Utiliz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홍영미(Youngmi Hong) 박대현(Daehyun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153~1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만화와 웹툰 관련 학술 논문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여 연구 동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데이터를 2000년부터 2015년, 2016년부터 2024년 두 시기로 구분해 키워드 빈도 분석, TF-IDF 분석, N-gram 분석,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부터 2015년까지는 “만화”를 중심으로 출판만화와 디지털 전환의 초기 연구가 주를 이루며, “캐릭터”, “애니메이션”, “매체”와 같은 키워드가 주목받았다. 2016년부터 2024년까지는 “웹툰”이 주요연구 대상으로 부상하며, “서사”, “스토리텔링”, “독자 경험”과 같은 키워드가 중심을 이루는 등 연구 초점이 디지털 플랫폼과 내러티브 구조로 확장되었다. 연구 결과, 웹툰은 대중문화 콘텐츠를 넘어 학문적, 산업적, 교육적 가치를 지닌 연구 대상으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IP 기반 부가가치 창출, 글로벌 시장 확장,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등에서 높은 잠재력을 보였다. 다만, 본 연구는 국내 논문에 한정되어 글로벌 동향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며, 정량적 분석에 집중해 정성적 접근이 부족한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외 비교 및 정성적 접근을 강화하고, 산업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research trends by examining academic papers related to Korean comics and webtoons from 2000 to 2024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The data was divided into two periods: 2000-2015 and 2016 -2024, and analyses such as key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N-gram analysi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from 2000 to 2015, research primarily focused on “comics,” with initial studies on published comics and digital transformation. Keywords like “character,” “animation,” and “media” were prominent. From 2016 to 2024, “webtoons” emerged as a major research subject, with a shift towards digital platforms and narrative structures, highlighting keywords such as “narrative,” “storytelling,” and “reader experien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webtoons have established themselves as research subjects with academic, industrial, and educational value beyond being popular cultural content. They show significant potential, especially in areas like IP-based value creation, global market expansion, and storytelling-based learning.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domestic papers and does not reflect global trends. Additionally, the focus on quantitative analysis leaves a gap in qualitative approaches. Future research should strengthe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risons, incorporate qualitative approaches, and utilize industry data to propose the future of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