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HD Tendencies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동욱(Donguk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1호, 113~15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ADHD 성향에 미치는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친구관계 및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10대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전국에서 표집된 중학생 1,959명이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8.0, Stata 16.0, Smart-PLS 3.0을 이용해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델(SEM)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친구관계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부모양육태도와 교사관계는 ADHD 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은 ADHD 성향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부모양육태도, 교사관계, 친구관계와 ADHD 성향 간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 증진 및 ADHD 관리에서 부모, 교사, 또래 관계와 자아존중감강화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ADHD tendencies in adolescent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study included 1,959 middle school students sampled nationwide based on the ‘Survey on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showed that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positively affected self-esteem, while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er relationships negatively impacted ADHD tendencies. Self-esteem also negatively influenced ADHD tendencies and mediated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s, teacher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and ADHD tendenci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parent, teacher, and peer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in managing ADHD and promoting mental heal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