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MT’s Safety Leadership on Safety Performance: Mediating Effect of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Moderating Effect of Institutio
- 발행기관
- 한국인사관리학회
- 저자명
- 홍계훈(Gyehoon Hong) 최우재(Woojae Choi)
- 간행물 정보
-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제49집 1권, 85~11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전리더십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특히, 최고경영층이 안전리더십을 발휘하였을
때 기업의 안전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최고경영층의 안전리더십과 안
전성과 간의 관계를 기업의 안전관리 시스템이 매개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즉, 최고경영층의 안전리더
십이 안전관리 시스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기업의 안전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최고경영층의 안전리더십과 안전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안전에 대한 제도적 압력
이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충북지역에 소재한 119개 기업을 표본
조사하였으며, 최고경영층에게는 안전에 대한 제도적 압력 인식을 측정하였으며, 안전관리 담당자에게
는 안전관리 시스템과 안전성과를 측정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에게는 안전리더십을 측정하였으며, 661
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때 공통방법의 편향성 문제를 줄이고자 한 달 간격을 두고 설문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최고경영층의 안전리더십은 안전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안전관리 시스템은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경영층의 안
전리더십과 안전관리 시스템의 관계를 안전에 대한 제도적 압력 인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in the context of safety.
Specifically, we predicted when top management team(TMT) demonstrated safety
leadership, it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afety performance. Additionally, we
predi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T's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performance
would be mediated by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we anticipated that the
TMT's safety leadership would positively affect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hich in
turn would enhance safety performance. Finally, it was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T's safety leadership and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ould be
moderated by institutional pressures. The sample consisted of 119 companies located in
Chungbuk. Institutional pressures related to safety were measured from 119 TMT
members, while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safety performance were assessed by 119
safety managers. Safety leadership was measured through responses from 661 employees.
To minimize common method bias, th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a one-month interval
between them.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TMT's safety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safety performance, and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T's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al pressur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MT's safety
leadership and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토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