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s of Beauty Devices on Consumption Emotions and Quality of Life Among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 발행기관
-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 저자명
- 나윤영(Yun Young Na)
- 간행물 정보
- 『스마트미디어저널』제14권 제2호, 92~10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컴퓨터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30대 여성 소비자의 뷰티디바이스 가치의식과 소비감정 및 삶의 질 간의 실증분석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뷰티디바이스 가치의식의 하위요인 중 물질주의 가치, 기대 가치, 정서적 가치는 소비감정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둘째, 뷰티디바이스 가치의식의 하위요인들은 삶의 질의 하위요인인 자아존중, 자아욕구실행, 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p<.05, p<.01), 특히 타인지향 가치는 자아욕구실행에만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소비감정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요인(자아존중, 자아욕구실행, 적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eauty device value consciousness, consumption emotions, an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ialistic value, expectation value, and emotional value, which are sub-factors of beauty device value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nsumption emotions (p<.05). Additionally, the sub-factors of value consciousness positively influenced the sub-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such as self-esteem, self-actualization, and adaptability (p<.05, p<.01). Notably, other-oriented valu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on self-actualization. Furthermore, consumption emotion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 all sub-dimensions of quality of life, including self-esteem, self-actualization, and adaptability (p<.001). This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t role of value consciousness and consumption emotions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female consumers using beauty de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