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rivation Safety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Areas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홍지수(Jisu Hong) 전우선(Wooseon Je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5권 1호, 27~3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안전취약성이 높은 도시재생 사업지를 대상으로 활성화계획서의 방재계획 내용을 분석하고, 주요 공간계획 및 사업화 단계에서 안전인지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사례에서 도출된 방재요소들을 전문가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주성분으로 구분되었으며 레인가든, 녹지대, 옥상녹화, 실개천, 빗물저장 및 빗물받이로 구성된 자연친화적 안전요인, 지능형 소화전, 스마트 그늘막, 스마트폴, 열차단 포장, 벽면녹화로 구성된 기술적 안전요인, 노후간판정비, 바닥열선, 바닥정비, 전선지중화, 계단보수로 구성된 구조적 안전요인, 마지막으로 안전휀스와 가림막으로 구성된 설치적 안전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재생의 계획단계에서 낙후된 거주환경정비와 함께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인지적 안전요인의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disaster prevention plan of an activation plan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 sites with high safety vulnerabilitie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uld increase safety awareness during the chief spatial planning and commercialization stages. The factor analysis conducted by experts was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safety factors: friendly comprising rain gardens, green areas, rooftop greening, small trickles, rainwater storage, and rainwater catchments; technical comprising intelligent fire hydrants, smart shades, smart poles, insulated floor paving, and wall greening; structural comprising aging sign maintenance, floor heating, floor maintenance, underground wiring, and stair maintenance; and facility comprising safety fences and screening. Based on these results, cognitive safety factors should be applied during the urban regeneration planning stage to respond proactively to disasters, while improving outdated living environments.
목차
1. 서 론
2. 이론고찰
3. 도시재생지역의 방재계획 및 사업 분석
4. 인지 측정을 통한 도시재생지역의 안전요인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