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assification of Sleep Patterns and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in Third-Year Middle School Adolescen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창겸(Chang Gyeom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4호, 1029~104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들의 기상 및 취침시각에 따라 잠재프로파일을 유형화함으로써 일주기리듬과 수면패턴을 파악하고 프로파일 간의 심리정서적 문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2018)의 3차 자료 중 2,38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과 다분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심리정서적 문제 변인으로는 주의집중, 공격성,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우울을 사용하였다.
결과 그 결과 ‘과도한 취침기상불규칙-새벽형’,x ‘취침기상불규칙-저녁형’, ‘기상불규칙-중간형’, ‘취침기상규칙-아침형’으로 청소년의 수면패턴이 유형화되었고 각 프로파일마다 수면의 양과 질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심리정서적 문제로 사용한 변인 모두 프로파일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주기리듬이 늦고 주중과 주말 간 수면패턴이 불규칙한 프로파일이 다른 프로파일에 비해 수면시간이 적고 수면의 질이 낮았으며, 심리정서적 문제 수준이 더 높았다.
결론 이는 청소년들이 심리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수면권 확보를 위한 교육환경 조성과 심층적인 수면 실태조사 등 청소년들의 심리정서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국가나 교육당국 그리고 가정이 노력해야 할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the wake-up and bedtime schedules of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circadian rhythms and sleep pattern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between the profile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third wave of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analyzing data from 2,384 participants.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ere conducte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 variables included attention, aggression, somatic symptom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Resul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Conclusions This suggests that maintaining a regular sleep pattern is important for adolescents to grow up emotion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efforts that the stat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families should undertake to prevent adolescent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ssues, such a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nsures sufficient sleep and conducting in-depth surveys on sleep patter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