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ooking at L1 and L2 College Students’ English Textual Differences from an SFL Perspective
이용수 3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송은(Son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4호, 851~86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어 1언어 학습자와 2언어 학습자가 쓴 텍스트가 어떻게 다른지, 그 차이점이 어휘와 문법적 선택을 통해 어떻게 실현되는지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1언어, 2언어 학습자의 에세이에 드러난 주제 구성의 차이점을 탐구하기 위해 영어 모국어 학습자와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가 쓴 두 개의 텍스트를 서론, 응집력, 접속사의 사용, 절을 연결하는 전략, 주제 구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두 필자가 쓴 영어 텍스트는 글을 시작하는 방법, 응집력과 접속사, 절을 연결하는 전략, 주제 구성 면에서 눈에 띄는 차이점을 보였다.
결론 다른 의미가 구현되고, 다른 문맥이 실현되는 문법적 선택의 분석은 1언어와 2언어 필자의 텍스트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언어 필자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통찰력을 제공하며, 학습 요구에 따른 보다 효율적인 교수활동을 고안해 내는 데 도움을 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plores how different L1 and L2 learners’ English written texts are and how these differences are realized through lexical and grammatical choices.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thematic organization represented in L1 and L2 writer students’ essays, English texts written by L1 (an English native speaker) and L2 (a Chinese native speaker) writ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first sentence introduction, cohesion, usage of conjunctions, clause-combining strategies, and thematic organization.
Results The two texts written by L1 and L2 writers show salient differences in how to begin the texts, cohesion and conjunction, clause-combining strategies, and thematic organization.
Conclusions The analysis of grammatical choices through which different meanings are construed and different contexts are realized explicitly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L1 and L2 writers’ texts, which leads to more insights into L2 writers’ texts and more effective instruction depending on learning need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
Ⅳ.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nd Discussion
V.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