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Cognitive Structur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s of Atmosphere and Climate: An Analysis Through Word Association Tes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신(Shin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4호, 617~6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이 대기와 기후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단어 연상 검사(Word Association Test, WAT)를 활용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개념적 연결 구조를 파악하고 과학적 오개념을 탐색하며, 이를 기반으로 과학교육에서의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전주에 위치한 교육대학교에서 과학교육론 강의를 수강한 초등 예비교사 65명이다. “기후,” “대기,” “온도”, “기압,” “바람”, “습도,” “강수량”과 같은 주요 개념을 포함한 단어 연상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빈도 분석과 개념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비,” “기압,” “고기압” 등 일상적인 개념에서는 높은 연결성을 보였지만, “대류성 강우,” “태양의 입사각”과 같은 복잡한 과학 개념에서는 이해도가 낮게 나타났다. 오개념 분석에서는 “기후는 날씨와 동일하다,” “고기압은 항상 맑은 날씨를 만든다”와 같은 과학적 오개념이 확인되었다. 개념 네트워크 분석 결과, 주요 개념 간의 연결성은 단편적이며, 복합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이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대기와 기후 개념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오개념을 교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utilized the Word Association Test (WAT)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s of atmosphere and climate.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nceptual connection structures of pre-service teachers, explore scientific misconceptions, and propos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science education course at a university located in Jeonju. A WAT was conducted, including key concepts such as “climate,” “atmosphere,” “temperature,” “pressure,” “wind,” “humidity,” and “precipitation.” The data were quantitatively evalua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oncept network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showed high connectivity with everyday concepts such as “rain,” “pressure,” and “high pressure,” but demonstrated low understanding of more complex scientific concepts like “convective rainfall” and “solar angle of incidence.” Misconception analysis revealed scientific misconceptions such as “climate is the same as weather” and “high pressure always creates clear weather.” The concept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the connectivity between major concepts was fragmented, indicating a lack of understanding of complex interaction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limitations in scientifically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atmosphere and climat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correct misconcep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