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ttitudes toward Teaching Methods, and Lecture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지혜(JI-HYE Mo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4호, 409~4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강의만족의 관계를 교수법에 대한 태도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업효능감이 이 간접효과(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상남도 한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 학생 340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 교수법(의견제시 요구, 매체활용, 필기요구, 교수자행동, 설명식 강의)에 대한 태도, 학업효능감, 강의만족 등을 측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271부였으며 이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Macro PROCESS 3.5와 SPSS 23.0으로 이루어졌다. 매개효과 검증은 PROCESS 4번 모델,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은 PROCESS 14 모델로 이루어졌다.
결과 첫째, 사회불안과 교수법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사회불안과 강의만족, 효능감은 부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둘째, 사회불안과 강의만족의 관계에서 교수법(설명식 강의)에 대한 태도를 제외한 나머지 교수법(의견제시 요구, 매체활용, 필기요구, 교수자행동)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불안과 강의만족의 관계에서 교수법 하위차원 중 의견제시 요구에 대한 태도의 간접효과(매개효과)만 학업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런 결과는 능동적 교수법을 사용해 강의를 계획할 때 이 교수법이 일부 학생들에게는 학업상취 및 강의에 대한 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 교수법을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attitudes toward teaching method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course satisfaction. Furthermore, we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moderates mediating effect.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271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at a university in Gyeongsangnam-do to measure their levels of social anxiety, attitudes toward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soliciting student opinions, using media, requiring note-taking, instructor behavior, and lecture-style teach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course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odels 4 and 14 of SPSS MACRO PROCESS 3.5.
Results First,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teaching methods, while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l anxiety and both lectur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all teaching methods except for lecture-style teaching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course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only in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lecture satisfaction through attitudes toward soliciting student opinion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tructors should consider the potential negative consequences of adopting active learning approaches, as some students may experience decline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or lectur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