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ies among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예원(Yewon Lim) 이하연(Hayeon Lee) 김옥(Ok Kim) 김민선(Min Su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4호, 7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소외에 대한 두려움, 우울을 통해 SNS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은 국내 대학에 재학중인 재학생 268명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과 팬텀 변수(Phantom Variable)를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사회비교경향성에서 우울, SNS중독경향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제외하고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회비교경향성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우울의 순차매개 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이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높고,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다시 우울을 높여 SNS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개별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비교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하며, 소외에 대한 두려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은 대학생들일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질 수 있는데 이 과정을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나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어려움이 설명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SNS 중독경향성의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사회비교 성향을 가지고 있을 때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나 우울과 같은 정서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상담 실제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추가적으로 논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on model in whic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fluences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isted of 268 current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Phantom Variable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Results All path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 except for the direct path fro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depression and SNS addiction orientation. When examining the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fear of missing ou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epress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missing out and SNS addiction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meaning that the higher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higher fear of missing out, and fear of missing out may lead to SNS addiction tendency by increasing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may be more prone to SNS addiction, and this process may be explained by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re further discussed, suggesting that emotional interventions such as fear of missing out and depression may be necessary when clients complaining of SNS addiction tendencies have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