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Disaster and Emergency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지희(Jee Hee Kim) 문태영(Tae Young Moon) 박정현(Jeong Hyun Park) 엄태환(Tai Hwan Uhm) 최혜경(Hea Kyung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398~40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12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이 현장에서 겪는 충격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분석을 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업무부담감,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응) 3개, 매개변인(현장충격 스트레스) 1개, 종속변인(신체적 증상)으로 구성하여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 970명 소방공무원으로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과 AMO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코딩데이터의 입력확인을 위해 데이터클리닝(data cleaning) 작업을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ɑ 검증을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한 연구가설은 선행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업무 부담감과 스트레스는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스트레스, 스트레스대응은 신체적 증상에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 스트레스가 낮고, 스트레스 대응이 높을 때 신체적 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가설설정
3. 연구대상
4. 타당도 및 신뢰도
5. 자료처리의 방법
6. 연구결과 및 논의상관관계 분석결과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