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spects and Usefulness of Blended Tea in 19th Century Britain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정현구(Hyeon Goo Je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30권 제4호, 22~3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세기 영국의 티 블렌딩의 양상과 효용성에 주목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두고 있다.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에서는 차무역량이 증가했던 18세기부터 찻잎을 조합하여 향미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둘째, 19세기에 인도와 실론에서 생산된 차는 중국차에 익숙해있던 소비자에게 향미가 부족하다고여겨져 중국차와 블렌딩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었으나 소비자가 점차 강렬한 맛과 깊은 농도를 선호하면서 단독으로 음용되었다. 셋째, 블렌딩에 있어 고려되어야할 부분은 수질, 향미·수색·농도의 조화 그리고 가격의 적정성이었다. 넷째, 섞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은 19세기 전반 블렌딩의 발전을 저해하였으나 후반에는 보다 체계적인 식품의약법이 시행되면서 블렌딩이 하나의 영역으로 자라잡게 하는 직접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블렌디드 차는 각 차의 향미가 가진 한계를 넘어섬으로써 좋은 차에 대한 기준과 선택권을 한층 확장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and usefulness of tea blending in Britain in the 19th century.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tea leaves were combined to improve the taste of tea in Britain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volume of the tea trade increased. Second, consumers accustomed to Chinese tea considered tea produced on India and Ceylon to be short of flavor and taste. Hence it was necessary to blend it with Chinese tea. On the other hand, Indian and Ceylon teas were consumed solely because consumers gradually preferred the strong taste and deep concentration. Third, major considerations in tea blending were the hardness of water, harmony among flavors, depth of liquid, consistency and the appropriateness of price. Fourth, although government legislation prohibiting mixing other ingredients with tea hindered the development of tea blending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Food and Drugs Act implemen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became a catalyst for tea blending to secure its field. Blended tea has expanded the standards and options for fine tea by exceeding the limits of the flavor of each tea.
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