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remenstrual syndrome,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the sleep quality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미경(Mi Kyung Kang) 김인경(In-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1093~110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여성으로서의 겪을 수 있는 블편감인 월경전증후군과 지각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수면의 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기간은 2024년 5월 26일부터 8월 10일까지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253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은 보통보다 좋은 수준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은 흡연, 지각하는 정신건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의 질과 월경전증후군, 지각된 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하는 정신건강, 월경전증후군, 지각하는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이 있었으며 설명력은 48.3%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월경전증후군과 지각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정신적 건강관리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확인한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 적용 및 중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remenstrual syndrome, perceived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leep quality experienced by female nursing students,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6 to August 10, 2024,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53 nursing students from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software,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leep quality of nursing students was above averag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 quality depending on smoking habits and perceived mental health. Sleep qu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ceived stress, while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included perceived mental health, premenstrual syndrome,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8.3%.
Conclusions To improve the sleep quality of nursing students,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strategies that reduce premenstrual syndrome and perceived stress while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trengthened mental health management.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and intervention studies that incorporate the factors affecting sleep quality identified in this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지사메디칼
- 정신신체의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한국웰니스학회지
- 청소년상담연구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문화기술의 융합
- 인간이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간호행정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정신간호학회지
- 문화기술의 융합
- 융합정보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스트레스연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문화기술의 융합
- 디지털융복합연구
- 건강과 간호
- Behavior Research Methods
-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 Psychosomatic Medicine
- Sexual & Reproductive Healthcar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BMC Women’s Healt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