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Perceived by Parents on the Trustworthiness, Professionalism, and Lik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상훈(Sang Hoo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1057~107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연구는 학부모가 인식하는 보육교사의 언어와 비언어 요소(음성 및 시각적 요소)가 신뢰도, 전문성 및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의 부모 220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이 중 중복 기재 등의 오류로 14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06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예: 음성 톤, 표정)가 상호 작용을 하여 부모의 보육교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신뢰성과 전문성 모두 언어적 및 비언어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명확한 언어와 긍정적인 신체 언어는 교사의 전문성을 높인다. 호감도는 언어적 요소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대신, 비언어적 요소, 특히 음성과 시각적 요소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다. 친절함과 우호성을 표현하는 비언어적 신호가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결론 이 연구는 학부모의 보육교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있어 언어적 및 비언어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언어적 요소는 신뢰성과 전문성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반면, 비언어적 요소, 특히 음성 및 시각적 요소는 호감도를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따라서 보육교사는 신뢰를 구축하고 전문성을 발휘하며 학부모와 긍정적인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언어적 및 비언어적 요소를 조화롭게 활용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vocal and visual) as perceived by parents on their perceptions of daycare teacher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dimensions of trustworthiness, professionalism, and likability.
Method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20 parent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fter excluding 14 responses due to errors such as duplicate entries, a final sample of 206 responses was analyz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both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e.g., tone of voice, facial expressions) interact to shape parents' perceptions of daycare teachers. Second, both trustworthiness and professionalism are influenced by both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Clear language and positive body language enhance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Likability, on the other hand, is less affected by language and i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on-verbal elements, particularly vocal and visual aspects. Non-verbal signals that convey kindness and friendliness play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both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in shaping parents' perceptions of daycare teachers. While language is essential for conveying trustworthiness and professionalism, non-verbal elements, especially vocal and visual aspects, are critical for enhancing likability. Therefore, daycare teachers should effectively integrate both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to build trust, demonstrate professionalism, and foster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유아교육연구
- 소비자학연구
- 국어교육연구
- 주관성 연구
- 심리학 연구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교육이론과 실천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유아교육연구
- 관광레저연구
- 한국언론학보
- 산업경제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커뮤니케이션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한국소통학보
- 유아교육학논집
- 관광학연구
- 한국방송학보
- 사회학 연구
- 교육학 연구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인문 사회과학연구
-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 The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