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85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Depress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정(Mijung Kim) 이윤주(Yunju Lee) 최웅용(Woongyong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977~988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4차(2021년)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2008년생 13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3.0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우울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이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자율성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우울의 관계에서 자율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아동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명백히 밝혀냄으로써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을 위해 부모의 성취압력과 자율성에 관련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실시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in the effe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children on depression. Methods To this end, data from the 14th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2021)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1,328 people born in 2008.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o perform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First,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depression. Seco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erceived by children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autonomy. Third, children's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Fourth, autonom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reveal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depression, an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related to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autonomy for children experiencing depr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심리연구
  •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상담학연구
  •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열린부모교육연구
  • 아동복지연구
  • 열린부모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심리연구
  • 서울: 학지사
  • 아동학회지
  • 청소년학연구
  • 청소년학연구
  • GRI 연구논총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열린부모교육연구
  • In R. J. Friedman, & M. M. Katz (Eds.). The psychology of depression: Contemporary theory and research
  •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 American Psychologist
  • Am Journal of Psychiat
  •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 Behavior Genetics
  •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 Depression and Anxiety
  •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 In J. G. Schulterbrandt, & A. Raskin (Eds.). Depression in children: Diagnosis, treatment and conceptual models
  •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 London: The Childrens Society
  • In M. Rutter, C. E. Izard, & P. B. Read (Eds.). Depression in young people: Developmental and clinical perspectives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정(Mijung Kim),이윤주(Yunju Lee),최웅용(Woongyong Choi). (2025).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3), 977-988

MLA

김미정(Mijung Kim),이윤주(Yunju Lee),최웅용(Woongyong Choi).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3(2025): 977-98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