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담자의 외상상담 경험과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의 차별적 효과와 군집 간 차이

이용수 300

영문명
The Effects of Counselors’ Trauma Counseling Experience and Empathy on Vicarious Trauma: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Attitudinal Empathy and Differences Among Clust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나혜(Nahye Park) 김은하(Eunha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947~95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공감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공감, 태도적 공감, 정서적 공감이 상담자의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외상 상담 경험이 있는 상담자 17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태도적 공감, 대리외상을 측정하고, SPSS 22.0을 활용하여 회귀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인지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도적 공감은 대리외상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집단(태도적 공감 우세 집단, 전반적 공감 저하 집단, 전반적 공감 높은 집단, 정서적 공감 우세 집단)이 도출되었다. 또한, 태도적 공감 우세 집단이 전반적 공감이 높은 집단과 정서적 공감 우세 집단에 비해 대리외상 점수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적 공감이 상담자의 대리외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정서적 공감이 높은 상담자는 대리외상에 취약할 수 있고 태도적 공감이 높은 상담자는 대리외상을 덜 경험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of empathy-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and attitudinal empathy would influence vicarious trauma among counselors. Methods A study was conducted with 174 counselor experienced in trauma counseling to measure cognitive empathy, affective empathy, attitudinal empathy, and vicarious trauma.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Results First, cognitive empath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vicarious trauma. Second, affective empathy ha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vicarious trauma. Third, attitudinal empathy had a negative significant effect on vicarious trauma. Lastly, cluster analysis revealed four groups, including Dominant Attitudinal Empathy, Overall Low Empathy, Overall High Empathy, and Dominant affective Empathy Dominant. The Dominant Attitudinal Empathy group scored lower on the vicarious trauma scale compared to the Overall High Empathy and Domiant Affective Empathy Domina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fective empathy may contribute to vicarious trauma in counselors. Conclusions Counselors with high affective empathy may be more vulnerable to vicarious trauma, whereas those with high attitudinal empathy may experience less vicarious traum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상담학연구
  • 상담학연구
  • 인간이해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 상담학연구
  • 새국어교육
  • 한국소통학보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상담학연구
  • 인간이해
  • 발달 지원연구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 Psychological Monographs: General and Applied
  • In J. Decety, & W. Ickes (Eds.).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Psychological Assessment
  • Psychotherapy
  •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 Psychological Method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Social Work Research
  •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 Journal of Deaf Studies and Deaf Education
  •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 Brain Research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 Traumatology
  • South African Journal of Psychology
  • Journal of Traumatic Stress
  • Journal of Personality
  • Neuroimage
  •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 Clinical Psychology Review
  • Journal of Psychology in Africa
  • Journal of the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 Social Work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나혜(Nahye Park),김은하(Eunha Kim). (2025).상담자의 외상상담 경험과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의 차별적 효과와 군집 간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3), 947-959

MLA

박나혜(Nahye Park),김은하(Eunha Kim). "상담자의 외상상담 경험과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의 차별적 효과와 군집 간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3(2025): 947-95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