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년여성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8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middle-aged wo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금단(Geum-dan Lee) 이호준(Ho-ju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917~92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15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자기분화와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40-59세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75부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분화와 정서표현양가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중년여성의 자기분화가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관계관여적 정서표현양가성이 일정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들을 위한 상담에서는 관계관여적 동기에 의한 갈등 문제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middle-aged women, and to examine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Methods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targeted middle-aged women aged between 40-59 over the country was conducted, and 275 answers were analyzed with SPSS 27.0 and SPSS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y sub-factor, self-defensive ambivalence did not appear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whereas relationship-involved ambivalence had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ship-relate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plays a certain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middle-aged women's self-differentiation affects their interpersonal ability. It means that the issues of conflicts due to relationship-involved motivation should be handled while counseling middle-aged women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천 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기독교상담 학회지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건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 학회지: 일반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콘텐츠학회지
  •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동아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가족치료학회지
  •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한국교육문제연 구
  •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대한 간호학회지
  •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심리 학회지: 사회 및 성격
  •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군산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Psychological Method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금단(Geum-dan Lee),이호준(Ho-jun Lee). (2025).중년여성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3), 917-929

MLA

이금단(Geum-dan Lee),이호준(Ho-jun Lee). "중년여성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3(2025): 917-92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