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rafting an Expatriate Teacher Identity: A Narrative Inquiry of an International Professor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혜민(Haemin J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729~7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필리핀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한 국제 교수의 이주 교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학자들이 고등 교육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인구층을 대표하는 만큼, 그들의 실제 경험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방법 이 연구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사용하여 교수의 정체성 형성과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데이터는 반구조화된 인터뷰, 후속 zoom 회의, 이메일을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은 Poole(2020)의 국제 학교 교사 정체성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의 개인적, 직업적, 그리고 교차문화적 경험에 중점을 두었다.
결과 연구 결과, 교수는 여러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으로 자신을 규정하였다. 여기에는 학습 촉진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기여자, 윤리적 실천의 모범, 학생들의 영적 웰빙을 위한 옹호자, 지원하는 동료,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하는 겸손한 학습자로서의 역할이 포함된다. 그의 정체성은 어린 시절의 경험, 영향력 있는 인물들, 교차문화적 경험, 그리고 신앙에 의해 형성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차문화적 인식에 대한 전문성 개발의 필요성과 교사 양성에서 종교적 신념의 역할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an international professor teaching in the Philippines developed his expatriate teacher identity. As international academics represent a rapidly growing demographic in higher education, their lived experiences remain insufficiently studied.
Methods To address this research gap, the study used narrative inquiry to examine the professor’s identity construct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i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follow-up Zoom meetings, and email correspondence. The analysis was guided by Poole’s (2020) framework for international school teacher identity,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personal, professional, and cross-cultural experiences.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rofessor identified himself in several key roles, including a facilitator of learning, a contributor fostering a positive environment, a role model for ethical practices, an advocate for students’ spiritual well-being, a supportive peer, and a humble learner who embraced cultural diversity. His identity was shap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childhood experiences, influential individuals, intercultural encounters, and his faith.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how personal challenges, intercultural experiences, and faith shaped an international professor’s teacher identity in a faith-based context. It underscores the need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intercultural awareness and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faith in teacher form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s
Ⅲ. Methodology
Ⅳ. Finding
Ⅴ. Discussion
Ⅵ. Implications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진로교육연구
- 조사연구
- 조사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취업진로연구
- 서울
-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 청소년학연구
- 한국교육문제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진로교육연구
- 교육평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직업교육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교육행정학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진로교육연구
- 직업교육연구
- 세종
-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 청소년학연구
- 사회과학연구
- 상업교육 연구
- 상담학연구
- 제1회 교육고용패널(KEEP) 학술대회 자료집
- 서울
- 교육심리연구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진로교육연구
- 청소년복지연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지
- 아시아교육연구
- 교육평가연구
- 교육학연구
- 서울
-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 International Journal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Career development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Research
-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 Political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