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elf-Growth Group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희(Young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623~64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J도 읍면지역의 D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2개 반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 1개 반에 재구성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 수준을 검사하였고, 집단별·집단간 종속변수 변화의 수준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수집된 질적 자료 분석을 통해 종속변수의 변화요인을 알아보았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질적 자료 분석에서 드러난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의 변화요인은 과정적인 개인목표 성취와 집단구성원과의 상호작용, 낯선 자신과의 직면, 타인수용을 통한 자기이해, 새로운 시도, 주요 인물과의 화해, 자성적 예언 효과 등 일곱 개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 활용된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이었고, 이러한 효과는 집단구성원과의 상호작용 안에서 자기 성장을 향한 다양한 실천 경험을 통해서 드러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를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구체적인 기초자료를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는 중학생들의 생활지도와 학습지도를 융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방향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program re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on the first-year students at D Middle School in J-do Tow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one cla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dministered a reconstructed self-growth program. After the treatment, the levels of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examined, an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in the level of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the factors of change in the dependent variable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growth group program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Second, the changes in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reveled in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process individual goal achievement, interaction with group members, face with unfamiliar selves, self-understanding through acceptance of others, new attempts, reconciliation with key figures, and magnetic prophecy effects.
Conclusions The self-growth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effects were revealed through various practical experiences toward self-growth in interactions with group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methods to effectively increase self-esteem and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will contribute to exploring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a program that combines life guidance and learning guida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생애학회지
- 직업교육연구
- 교육학연구
- 진로 교육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성인간호학회지
- 교육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학습자중심교과연 구
- 학습자중심교과연구
- 정신간호학회지
- 한국교육학연구
- 지역사회 교육상담연구
- 청람과학 교육연구논총
- 예술인 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연구
- 사 고개발
- 평생교육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관 광레저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청소년시설환경
- 연세논 총
-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아동교 육
- 사고개발
- 인간발달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청소년학연구
- 평 생교육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 학습자중심교과연구
- 교육종합연구
- 인문학논총
-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New York: Holt, Rinehart & Vinston
- New York: McGraw-Hill
- In D. C. Berliner, & B. Rosenshi (Eds.). Talks to teacher (pp. 201-245). New York: Random House
- In R. Vai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 ogy (pp. 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
- Upper Saddle River: Pearson Education, Inc.
-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 In R. Montemayor, G. R. Adams, & T. P. Gullotta (Ed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transitional Period? (pp. 205-239). Newbury park, CA: Sage
- New York: Harper
- London: Methuen
-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03-443
- Boston: Houghton Miffin
-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Education Psychology
- Educational Psychology
-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 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