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Group Program on Emotion Dysregulation, Mindfulness, and Distress Tolerance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숙(Eunsook Kang) 조민아(Mina Ch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547~5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여자 중학생의 정서조절곤란, 마음챙김, 고통감내력에 대한 변증법적 행동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집단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총10회기로 구성된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D광역시 OO중학교 재학생 가운데 정서조절곤란을 경험하는 여학생 24명을 실험집단(12명)과 통제집단(12명)에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정서조절곤란척도, 마음챙김척도, 고통감내력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추후 시점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정서조절곤란 여자 중학생을 위한 변증법적 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마음챙김과 고통감내력 수준이 사전보다 사후에 증진되었고, 정서조절곤란 수준은 사전보다 사후에 감소하여 프로그램의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 되었다. 반면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추후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변증법적 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은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여자 중학생의 정서조절곤란을 감소시키고, 마음챙김과 고통감내력 수준을 증진 시켰으며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DBT) group program on mindfulness,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istress tolerance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with emotion regulation.
Methods A group program consisting of 10 sessions was conducted, and to assess the program's effectiveness, 24 female students from OO Middle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who experience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12 people) or a control group (12 people). The measurement tools used were the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Scale, the Mindfulness Scale, and the Pain Tolerance Scale. Assessments were conducted a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point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levels of mindfulness and pain tolerance increased post-test compared to pre-test, an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decreased.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and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at the follow-up point.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test, post-test, or follow-up scores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DBT group program reduced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creased mindfulness and pain tolerance levels in middle school girls with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These effects were maintained even at the follow-up poi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청소년학연구
- 청소년상담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치료학회지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인지행동치료
- 가정과삶의질연구
- 인지행동치료
- 인문 논총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청소년문화포럼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교육의 이론과 실천
- 신경정신의학
- 신경정신의학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교육치료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기본연구보고서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t Medicine and Health
- Behavior Therapy
-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pat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 Sex Roles: A Journal of Research
- Behavior Therapy
- Psychological Bulletin
- Frontiers in Psychology
-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 School Mental Health
-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Substance Abuse
-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lth
- Child Indicators Research
- Journal of Child & Family Studies
-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