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as reflected in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주Jung Ju Kim 김은정(Eun 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513~52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에서 7주간 어린이집 참여관찰을 실시하고 작성한 일지를 분석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떤 배움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P시의 4년제 K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중이고 유아수학교육을 수강하며 어린이집 유아반으로 7주간의 현장참여관찰을 다녀온 학생 20명의 참여관찰일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법의 절차에 따라 연구자들이 함께 읽기, 1차 범주화, 반복 읽기, 2차 재범주화, 전문가 검토, 범주 확정의 과정을 거치며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참여관찰일지를 분석하여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배움은 ‘수학 활동을 넘어 유아의 일상에 스며있는 수학’, ‘어렵다는 편견에서 벗어나 자신감과 즐거움으로 다가오는 수학’, ‘놀잇감 만큼 중요한 교사, 또래와 함께하는 수학’, ‘텍스트와 유아교실의 만남으로 폭이 깊어지는 수학’의 4가지 범주로 도출하였다.
결론 예비유아교사는 현장참여관찰을 통해 유아수학교육의 목적, 수학하기 주체로서의 유아, 수학교육의 접근방법, 교사 및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총체적 배움이 일어났다. 그리고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의미 있는 배움은 유아의 삶의 맥락에 함께 들어가 경험하고, 감각으로 느끼고, 변화하는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과정에서 일어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an analysi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s they wrote during a 7-week field observation in a childcare center as part of 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Methods The study collected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s from 20 third-yea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K University, P City, who had completed a 7-week field observation in a preschool classroom while taking the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our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which involved a process of reading the data together, initial categorization, repeated readings, secondary recategorization, expert review, and final category confirmation.
Results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nt observation journals reveale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abou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1) “Mathematics beyond activities, embedded in children's everyday lives,” 2) “Mathematics approached with confidence and joy, breaking away from the prejudice that it is difficult,” 3) “Mathematics with teachers and peers, as important as play materials,” and 4) “The deepening of mathematics through the encounter between texts and the preschool classroom.”
Conclusions Through field observation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ain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the role of young children as active participants in mathematics, approaches to teaching mathematics, and the importance of teachers and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suggests that meaningful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occurs through experiences that immerse them in the context of children's lives, engage their senses, and enable them to actively respond to changing situ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어린이미디어연구
-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 한국 보육학회지
- 생태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동아인문학
- 열린유아교육연구
- 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학연구
- 아동과 권리
- 열린유아교육연구
- 미래 유아교육학회지
- 인문사회 21
- 유아교육연구
- 교육혁신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교육과 문화
- 한국유아교육연구
- 유아 교육연구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아동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한국보육학회지
- 영유아교육논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