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n Adaptive Learning Model Based on an LMS for TOPIK I Preparation Among Francophone Learners: A Practical Case Study with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Le Havre in Fra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미란(Mira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431~44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르아브르 대학에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LMS 기반의 이러닝 토픽 I 준비를 위한 적응형 학습 모델 및 콘텐츠를 개발하고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모의시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행동중심법 기반의 학습과 평가에 익숙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및 학습 요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르아브르 대학에서 사용하는 LMS 의 여러 기능과 적응형 학습법의 응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결과 이를 통해 르아브르 대학의 LMS 유레카의 여러 기능 및 특히 h5p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개별 맞춤형 학습 자료 및 상호작용형 모델을 설계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학습 모형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 속도 조절은 물론 자신이 원하는 학습 경로를 선택하고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율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프랑스 학습자가 토픽 I을 준비하면서 겪을 수 있는 각종 어려움을 적응형 학습법을 통해 개선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propose an adaptive learning model and LMS-based content for the preparation of TOPIK I, tailored to students learning Korean at the University of Le Havre in France.
Methods To achieve this, a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learning needs of students accustomed to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e action-oriented approach. This was carried out through mock exams and surveys. In addition, the functionalities of the LMS employed by the University of Le Havre and the applicability of adaptive learning methods were explored.
Results As a result, learner-centered, personalized learning resources and interactive content were designed using the various functionalities of the University of Le Havre’s LMS, Eureka, particularly leveraging the h5p tool.
Conclusions This learning model enables students to manage their own learning pace while selecting and adapting their preferred learning pathways. By providing an autonomous learning environment, this approach aims to address the various challenges faced by French-speaking learners when preparing for TOPIK I through adaptive learning strateg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맥락 분석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LMS용 적응형 학습모형 및 컨텐츠 제시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연세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새국어교육
- 문화와 융합
- 언어와 문화
-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언어사실과 관점
- 어문론집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언어와 문화
- 어문논집
- 이중언어학
- 한국언어문화학
- 이중언어학
- 한성어문학
- 인문과학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문화와 융합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