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dal endings and modal multiword expressions in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ality metaphor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차명희(Myunghee Cha) 한정한(Jeong Han H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377~3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이 글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의 문법적 은유(양태 은유)를 활용하여 한국어의 양태를 실현하는 어미(또는 부사)와 다단어 표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FL의 양태 정의에 따라 네 가지 양태 유형, 확률 양태, 빈도 양태, 의향 양태, 의무 양태의 담화의미를 실현하는 46개의 다단어 표현들을 선정하여, 이들을 양태 은유의 검토 기준에 따라서 양태의 은유적 표현인지 양태의 일치적 표현인지를 검토해 보았다.
결과 양태 다단어 표현은 양태의 은유적 표현(유형 Ⅰ)과 양태의 일치적 표현(유형 Ⅱ)으로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은유적 표현에는 Ravelli(1988, 1999)가 말한 반사효과 의미가 나타나서 양태의 의미가 더 상세화되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첫째, 양태의 은유적 표현(유형 Ⅰ)에는 확률 양태의 다단어 표현(23개)과 빈도 양태의 다단어 표현(3개), 그리고 의향 양태의 다단어 표현(12개)이 속했다. 이들은 일치적 표현과의 공유 담화의미에 특정한 의미가 추가되거나 일치적 표현과의 공유 담화의미가 조정되며 특정한 의미가 추가되는 반사효과 의미가 나타났다. 둘째, 양태의 일치적 표현(유형 Ⅱ)에는 의무 양태의 다단어 표현(8개)이 속했다. 이는 담화의미를 공유하는 일치적 표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어의 단어는 형태론의 조어법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문법적 은유를 통해서도 형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법적 은유를 이용하면 양태 이외의 다른 문법적 기능을 실현하는 다단어 표현들도 관념적, 대인적, 텍스트적 은유의 범위 안에서 정합적으로 설명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dings(or adverbs) and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modality in Korean by using grammatical metaphors(modality metaphors) from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Methods To achieve this goal, we selected 46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four modality types(probability, usuality, inclination, obligation) according to SFL's definition of modality, and examined whether they are metaphorical expressions of modality or congruent expressions of modality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examining modality metaphor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odal multiword expressions are classified into metaphorical expressions of modality (Type I) and congruent expressions of modality (Type II).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metaphorical expression showed the feedback effect mentioned by Ravelli (1988, 1999) that the meaning of the modality was more detailed. First, the metaphorical expression of modality (Type I) included multiword expression of probability modality (23), multiword expression of usuality modality (3), and multiword expression of inclination modality (12). They showed a reflective effect in which a specific meaning was added to the shared meaning discourse with congruent expression, or the shared meaning discourse with congruent expression was adjusted, and a specific meaning was added. Second, the congruent expression of modality (Type II) included multiword expressions of obligatory modality (8). This is because there is no congruent expression that share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that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can be formed not only by morphological word formation, but also by grammatical metaphors. By using grammatical metaphors, it is expected that multiword expressions that realize other grammatical functions other than modality can be explained within the scope of ideational, interpersonal, and textual metapho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SFL의 문법적 은유 이론
Ⅳ.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Ⅴ. 양태 의미를 실현하는 다단어 표현의 유형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어의미학
- 우리말연구
- 논문집
- 국어학
- 영주어문
- 국어학
- 우리말글
- 언어와 문화
- 배달말학회
- 연세어문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어문연구
-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한국언어문학
- 언어과학연구
- 언어
- 한국어문교육
- Journal of Korean Cultur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 DELTA Documentação de Estudos em Lingüística Teórica e Aplicad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