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faculty trust, class engag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in team-based project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선아(Suna Oh) 류정희(Jeonghee L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207~22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들의 교수신뢰, 수업참여도,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팀기반 프로젝트 수업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양적·질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교양교과를 수강한 대학생 26명이고, 이들을 대상으로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15주간 실시하였다. 수업은 지난 강의 확인 질문, 개인활동, 짝학습 또는 팀활동, 전체공유, 교수자 미니강의, 성찰일지 작성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학기의 첫 시간과 마지막 시간에 교수신뢰 척도, 수업참여도 척도, 학습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척도의 사전, 사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는 UCINET 6을 사용하여 키워드 간의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하여 의미연결망을 제시했다.
결과 첫째,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 후 학생들의 교수에 대한 친밀감, 전문성, 강의능력, 지도력에 대한 평가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성찰일지에서 교수에 관한 주요 키워드는 ‘생각’, ‘이름’, ‘다른’, ‘불러’, ‘차이’, ‘참여’, ‘시간’, ‘활동’, ‘소통’, ‘의견’ 순이었다. ‘생각’, ‘차이’, ‘다른’, ‘시간’, ‘공유’, ‘의견’은 연결정도중심성이, ‘생각’, ‘차이’, ‘다른’, ‘말하기’, ‘교과’, ‘이름’, ‘불러’는 근접중심성이, ‘생각’, ‘차이’, ‘말하기’, ‘이름’, ‘불러’는 매개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였다. 둘째,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 후 수업참여도 하위요인 중 의사표현하기, 수업확장하기, 수업열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학습동기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자신감, 만족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 대한 주요 키워드는 ‘생각’, ‘사람’, ‘다른’, ‘의견’, ‘이야기’, ‘좋았다’, ‘부족한’, ‘활동’, ‘평가’, ‘도움’, ‘성장’ 순이었다. 연결링크가 높은 상위 주제어는 ‘생각’, ‘사람’, ‘활동’, ‘의견’, ‘자신’, ‘시간’, ‘다른’, ‘부족한’, ‘보완’, ‘도움’, ‘작성’, ‘경청’ 순으로 나타났다. 연결정도중심성과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모두 높은 주제어는 ‘활동’, ‘생각’, ‘사람’, ‘다른’, ‘의견’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교양수업에서의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유용성을 확인하였고, 구체적으로 어떤 조건들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후 팀기반 프로젝트 수업의 운영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기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act of team-based project learning on students' trust in faculty, class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to lear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an integrated mann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m-based project teaching on learn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6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liberal arts program who participated in a 15-week team-based project learning course. The lessons consisted of a review of the previous lecture, individual activities, paired learning and teamwork, plenary sharing, instructor mini-lectures, and reflection journals. We administered the Faculty Trust Scale, Class Participation Scale, and Learning Motivation Scale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pre- and post-test changes, and the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for network centrality between keywords using UCINET 6 to present semantic connectivity networks.
Results First, students' evaluations of their professors' closeness, expertise, teaching ability, and leadership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eam-based project learning. In the reflective journals,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professor were ‘thought’, ‘name’, ‘different’, ‘call’, ‘difference’, ‘participation’, ‘time’, ‘activity’, ‘communication’, ‘opinion’. ‘Thought’, ‘difference’, ‘different’, ‘time’, ‘share’, and ‘opinion’ showed a high degree centralty. ‘Thought’, ‘difference’, ‘different’, ‘speaking’, ‘subject’, ‘name’ and ‘call’ were highly closeness centrality, and ‘thought’, ‘difference’, ‘speaking’, ‘name’, and ‘call’ were highly betweenness. Second, after the team-based project learning, the sub-factors of class particip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xpressing, extending, and enthusiasm for the class, and the sub-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ttention,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the team project learning process, the order of appearance frequency of major keywords was ‘idea’, ‘people’, ‘different’, ‘opinion’, ‘story’, ‘good’, ‘lack’, ‘activity’, ‘difference’, ‘evaluation’, ‘help’, and ‘growth’. The top keywords with high connectivity links were ‘think’, ‘people’, ‘activity’, ‘opinion’, ‘self’, ‘time’, ‘different’, ‘lack’, ‘complement’, ‘help’, ‘write’, and ‘listen’. The top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activity’, ‘idea’, ‘person’, ‘different’, and ‘opinion’.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usefulness of team-based project instruction in liberal arts courses and specifically examined the conditions under which it affects students.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m-based project classes are then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한국교육학연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디지털 콘텐츠학회논문지
- 교육인류학연구
-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대학 교수-학습 연구
- 열린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 교양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산업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간호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집
- HRD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교육공학연구
- 교육종합연구
- 공학교육연구
- 교육방법 연구
- 교육공학연구
- 한국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 Educational Psychologist
- Emerging issues in the practice of university learning and teaching
- Sociometry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itic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