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이용수 217

영문명
Developmental Study on the Design Principles of AI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이설희(Seolhee Lee) 금선영(Sunyoung Keum) 이가영(Gayoung Lee)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8권 제1호, 201~2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에 따라 선행 문헌 분석, 설문조사 및 초점 집단 면담(FGI)을 통해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으며, 이후 특수교육 및 교육공학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기에는 17개의 설계 원리와 37개의 상세 지침을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분석, 설계, 실행, 평가의 네 단계에 걸친 총 18개의 설계 원리와 45개의 상세 지침을 최종 개발하였다. 설계원리에는 지체장애학생의 물리적 접근성 보장, 학습 자료의 난이도 조정, 실시간 학습 과정 분석, 개별화 교육계획(IEP)과의 연계 등이 주된 내용으로 포함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에 대해 다음과 같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1) 지체장애학생의 교육 진단 및 평가 과정에서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 2) 진단·평가 결과와 학습 내용 및 활동 설계 간 환류 시스템 구축, 3) 학업 수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구체적 평가 항목과 방법의 마련, 4) NEIS와 평가 결과 공유를 통한 IEP 작성 효율성 향상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nd validate design principles for AI digital textbooks tailored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Method Follow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 preliminary set of design principles was develop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Subsequently, valid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special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Results Initially, 17 design principles and 37 detailed guidelines were proposed. Based on expert validity evaluations, these were refined and expanded into 18 design principles and 45 detailed guidelines across four stages: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and proposed the following design principles for AI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 reducing teachers’ workload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assessment, (b) establishing a feedback system linking diagnosis and assessment with the design of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c) providing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for real-time monitoring of academic performance, and (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IEP preparation by integrating assessment results with NE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Polity Press
  • Higher Learning Research Communication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 Journal of King Saud University -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설희(Seolhee Lee),금선영(Sunyoung Keum),이가영(Gayoung Lee). (2025).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 (1), 201-220

MLA

이설희(Seolhee Lee),금선영(Sunyoung Keum),이가영(Gayoung Lee).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AI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8.1(2025): 201-22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