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Gender and Frequency of Exerci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성호(Sung-ho Yoon) 정구인(Koo-i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1031~104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별과 운동 빈도에 따른 체육수업 행복과 만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세종시 소재 중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미회수 및 불성실하거나 결측값이 있는 응답지를 제외하고 252명을 분석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7.0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이원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성별과 운동 빈도에 따른 체육수업 행복에 대한 이원변량 분석 실시 결과, 운동 빈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체육수업 만족에 대한 이원변량 분석 실시 결과, 운동 빈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운동 빈도의 차이에 따른 체육수업 행복과 만족은 관계가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체육수업 행복도와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신체활동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다수의 중학교 여학생에게 즐겁고 행복하게 체육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성별을 고려한 수업 프로그램 등의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happiness and satisfaction in physical edu cation classes based on gender and frequency of exercis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jong City to measure the variables related to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gender and frequency of exercise. After excluding unreturned, insincere, or incomplete responses, 252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turned data underwent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bi variate analysis using SPSS 27.0.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were as follows: First, a bivariate analysis of happines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y gender and exercise frequenc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 ercise frequency,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Second, a bivariate analy sis of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frequency of exercise,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gain,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differences in exercise frequency were not related to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physical education classe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gender. In particular, girls re ported lower levels of happiness and satisfaction compared to boys. Therefore, it was recommended to consider gender-specific class programs to encourage middle school girls, many of whom were not interested in physical activity, to enjoy and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체육과 학회지
- 교육문화연구
- 한국융 합과학회지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지
- 대한스포 츠융합학회지
- 교육과정평가연구
- 교과교육학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 총
- 한국여성체육학회지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한국발육발달학회지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한국초등 체육학회지
- 한국디지털정 책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교원교육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 어 논문지
- 한국체육 과학회지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 육학회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교육연구논총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한국체육교육학 회지
-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한국사회체 육학회지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여가문화연구
- 중앙 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 한국체육과학 회지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