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reflection on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CRP)’ on Korea's multicultur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영(S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719~7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CRP)의 의미와 핵심 내용, 실천 논리를 소개하고, 그것이 우리나라의 다문화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문제점을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의 관점에서 진단하였다. 이후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RP)의 의미와 핵심 내용을 관련 문헌을 통해 확인하고, 사례 연구들을 탐색하여 그것이 역량기반교육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실천 활로를 확보하는 원리를 성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성찰이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결과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RP)은 ‘자산기반교수법’의 한 흐름으로 해석되면서, 학교교육에서 실천되는 다문화교육 속에 여전히 존재하는 문화에 따른 불평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이해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개념적, 방법적 도구를 제공해 준다. 동시에,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CRP)은 최근 들어 그것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맹점을 해결하기 위해 역량기반교육과의 연계를 모색하여, 다문화교육에서 소수 문화 학생에 대한 문화적 차별 양산을 극복하는 다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실질적 변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과정이 학생의 문화비판적 역량을 추구하고, 전인격적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설계 및 적용되어야 하며, 학생 자신과 주변의 문화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드러내는 ‘거울과 창’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다문화교육이 현재 당면한 중차대한 문제이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eaning, core content, and practical logic of culturally re sponsive pedagogy (CRP),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for Korea's multicultural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diagnosed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from the critical multi cultural education theory perspective. After that, the meaning, core content, and practical principles of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CRP) were reflected.
Results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is interpreted as a flow of ‘asset-based pedagogy’, providing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tool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inter-cultural inequality according to back grounds or cultures that still exi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s. At the same time,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are attempting to suggest alternatives to the practical problems of crit ical multicultural education pedagogy by seeking connection with competency-based education to solve their practical blind spots in recent years. This enables changes to a new multicultural curriculum that overcomes the mass production of cultural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y studen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This study urged the need for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Korea to pursue students' cultural critical competencies and play the role of ‘mirrors and windows’ that accurately reflect and reveal students themselves and the culture around them, based on holistic human relationships. Through this, this study can provide an alter native to overcome the reality of Korea, which is an important problem facing multicultural education but is not getting practical effects.
목차
Ⅰ. 서론
Ⅱ. 비판적 다문화교육론에 따른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문제점
Ⅲ.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 (CRP)의 의미와 주요 개념
Ⅳ.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 (CRP)의 실천적 어려움과 대안
Ⅴ.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법 (CRP)이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교육과정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 교육
- 교육과정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과정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교육문화연구
- 사회과교육
- 다문화 교육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인문사회
- 교육철학연구
- 문화예술교육연구
- 현대사회와 다문화
- 교육인류학연구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제 회 학술논문집
- 윤리교육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 다문화교육연구
- 문화예술교육연구
- 초등교육연구
- Electronic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al Psychology
-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 Preventing School Failure. Altern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nd Youth
- The Urban Review
-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Teachers College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 Corwin a SAGE Company
- Corwin, a SAGE Company
- Multicultural Perspectives
- New York: McGraw-Hill
- San Francisco: Jossey-Bass
- Theory into Practice
-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Teachers College Record
- Library Trends
- Educational Researcher
- The Educational Forum
- Teachers College Record
- Social Science Record
- The Urban Review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Race Ethnicity and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