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이용수 72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Unmitigated Agency in Male Employees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수연(Sooyeon Kim) 김지현(Jihyeo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705~71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30-50대 사이의 남성 사무직 직장인 이었다.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 총 200명의 유효 응답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0,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이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는 직장인 남성의 과도한 남성성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도 유의미하지만,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간접 영향도 유의미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mitigated agency and depression among male employe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s of workplace bullying. Methods The study targeted male employees aged between 30 and 50. A total of 200 valid response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Amos 23.0.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Additionally,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Unmitigated agency and depression. Second,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were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nmitigated agency and depression.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Unmitigated agency in male employees has a direct effect on de pression, it also indirectly influences depression through experiences of workplace bully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 정신 간호학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Management
  • Journal of Management
  • Annual Review of Psychology
  •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 Social Science Research
  • Psychological Bulletin
  •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 Psychological Documents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European Congress on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 Violence and Victims
  • Journal of Personal Psychology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 Gender and Society
  • BMC Public Health
  •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 Psychological Bulletin
  •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 Journal of Personality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Brain Sciences
  • Workplace Health & Safety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 Personnel Review
  •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Sex Roles
  • Work & Stress
  •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 Social Science & Medicine
  • Qualitative Health Research
  •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 Frontiers in Psychology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Nordiske Organisasjjonsstudier
  •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 Austin, TX: University of Texas Pres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Sooyeon Kim),김지현(Jihyeon Kim). (2025).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2), 705-717

MLA

김수연(Sooyeon Kim),김지현(Jihyeon Kim). "남성 직장인의 과도한 남성성과 우울과의 관계: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2(2025): 705-71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