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e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on Their Ability to Implement Play-Based Curriculu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소연(So Yeon Park) 김민정(Min J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689~7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 그리고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북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 학급 담임 경력이 있는 보육교사 215명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 창의적 교수효능감,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분석을 위해 설문 도구를 활용하였다. 결과분석을 위해 SPSS 21.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기법을 활용하여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가지는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창의적 교수효능감은 매개효과를 지닌 유의미한 매개변인이며,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교수창의성의 직접효과는 물론 창의적 교수효능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에 있어 교사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있어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 제고를 위해 보육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이 선행되어야 하며,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역량에 대한 증진 및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창의적 교수효능감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ability to implement a play-ba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research inves tigates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application of a play-based curriculum.
Methods A survey instrument was used to analyz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 cacy, and ability to implement curriculum during play among 215 childcare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tod dler classes in daycare centers in Chungcheongbuk-do.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3.0, incorporat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implementation capacity of a play-based curriculum was examined through bootstrapping techniques.
Results First,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creative teaching efficacy, and their competence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showed that both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capacity. Second, the examina 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eaching efficacy between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the implementation capacity of a play-based curriculum indicated that creative teaching efficacy functions as a significant mediator. This partial mediating effect established both the direct influence of instructional creativity on the implementation capacity and the indirect effect mediated by creative teaching 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care teachers’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their ability to implement a play-based curriculum execution capabilitie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childcare teachers’ play-oriented curriculum execution capabilities and seek an envi 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demonstrate instructional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열린유아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한국보육학회지
-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부모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열린유아교육연구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유아교육 보육복지 연구
- 유아교육연구
- 부모교육연구
- 어린이교육비평
- 아동교육
- 창의력교육연구
- 한국영유아보육학
- 유아교육학논집
- 유아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사고개발
- 유아교육연구
- 한국유아교육연구
- 유아 교육학논집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방법연구
- 유아 교육연구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심리학회지
-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 Psychological Metho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