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Coping Experience of Counselor’s Counseling Relationship in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영식(Yeongsik Yun) 이아라(Ara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581~60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화상 집단상담에서 상담자가 상담관계와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대처 경험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면 집단상담과 화상 집단상담을 모두 운영해 본 경험이 있는 상담자 8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수집된 자료에서 참여자의 경험을 반영하는 의미단위를 추출하고, 이를 토대로 하위주제와 상위주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현상에 대한 일반적 구조를 기술하였다.
결과 화상 집단상담을 운영한 상담자가 상담관계에 있어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는 총 6개의 상위주제(열 개의 창문으로만 소통하는 느낌, ‘화상’환경이 가져오는 방해물, 지금 여기, 우리로 붙잡아두려 애를 써야 함, 화상의 제약을 화상으로 극복함, 화상 집단에 맞는 방식들을 찾아감, 대비할 건 대비하고 받아들일 건 받아들임), 18개의 하위주제, 51개의 의미단위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화상 집단상담자가 상담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처하는 데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coping experiences that counselors ex perience in relation to counseling relationships in group counselling using videoconferencing through phenom enological research methods in dept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8 counselors who had operated both face-to-face and using videoconferencing group counseling. Meaning units reflecting the participant's expe rience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and sub-topics and super-top ic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research phenomenon was described based on the derived topic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 super-topics(The feeling of communicating only through ten windows, The obstacle caused by the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Here and now, trying hard to keep people in us, Overcoming the constraints of the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with the videoconferencing environment, Finding the ways to fit the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Being Prepared for what needs to be pre pared, accepting what needs to be accepted), 18 sub-topics, 51 meaning units were deriv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at can be considered in coping with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ounselors who operated group counseling using videoconferencing in counseling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가족과 상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인간이해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
 - 상담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가족과 가족치료
 - 청소년상담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복지상담교육연구
 - 명상심리상담
 - 상담학연구
 - 인간이해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상담학연구
 - 인간이해
 - 상담학연구
 -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 The Journal of Specialists in Group Work
 - The Journal of Counselor Preparation and Supervision
 - CA: Sage
 - Mhealth
 -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Journal of Adolescent and Young Adult Oncology
 - CA: Sage
 - Journal of Analyt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 The Australian Journal of Rural Healt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