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85

영문명
Qualitative meta-analysis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room experience applying flipped learn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장미연(MIYEON J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543~56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의 질적 연구물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예비유아교사의 성공적인 플립러닝 적용 수업 운영에 필요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Nobilt & Hare(1988)의 질적 메타분석 실행단계를 재구성한 나장함(2008)의 8단계 질적메타분석 실행 단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물 분석을 위한 선정된 연구물은 최종 12편이며, 선정된 연구물을 비교·분석하여 범주화한 뒤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 크게 ‘인식’와 ‘변화’로 나뉘었다. 플립러닝 수업 적용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은 ‘사전학습을 통한 주도적 수업 준비’, ‘본 수업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소통’, ‘수업 후, 성찰을 통한 생각키우기’로 나타났고, 예비유아교사들의 변화에서는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흥미와 배움의 확신가지기’, ‘전문성을 갖춘 유아교사러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은 최종적으로 ‘자기주도적 문제해결과정을 통한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역량 증진’을 위한 의미로 정리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 대상 플립러닝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고, 수업 적용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과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on flipped learning classes experienced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stablish measures necessary for successful oper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es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future.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Na Jang-ham's (2008) eight-step qualitative meta-analysis im plementation steps, which were a reconstruction of Nobilt & Hare's (1988) qualitative meta-analysis im plementation steps. The final 12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 selected studies were compared, an alyzed, categorized, and their meaning was explor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ivided into ‘recognition’ and ‘change’. The perceptions of pro 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classes were ‘leading class prepara tion through prior learning’,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in this class’, and ‘increasing thinking through reflection after class’. Their changes included ‘having interest in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having confidence in learning’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early childhood teacher.’ These experiences can ultimately be summar ized as meaning ‘improvement of competency as a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self-directed problem-solving process.’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lipped learning classes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ovide various support and directions necessary for class appl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어린이미디어연구
  • 미래음악교육연구
  • 학습자숭심교과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열린교육연구
  • 교육컨설팅연구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 교육연구
  • 교육과정연구
  • 질적탐구
  • 인문사회21
  • 한국유아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 생태 유아교육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 생태유아교육 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생태유아교육연구
  • 어린이미디어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인문사회21
  • 교육학연구
  • 인문사회21
  •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원교육
  • 열린유아교육연구
  • 질적탐구
  • 문화와 융합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학논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연(MIYEON JANG). (2025).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2), 543-565

MLA

장미연(MIYEON JANG). "예비유아교사의 플립러닝 적용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2(2025): 543-56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