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on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Through TPACK Developmental Stage-Based Lectur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경식(Kyeongsik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481~49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중소도시에 소재한 교사양성 대학의 예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강의를 수강하고 이때 나타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과 관련된 인식을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토대로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15주 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때 예비 교사들이 강의를 수강하면서 제출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목표, 조별 수업 리허설 참관 보고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역량 발달 보고서를 수집하였다. 다음으로 예비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목표를 재진술하여 크게 2개의 문장으로 종합하여 분류한 후, 테크놀로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조별 수업 리허설 참관 보고서와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역량 발달 보고서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이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대하여 갖고 있던 선입관과 그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목표를 분석한 결과 예비 교사를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 그룹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을 얻고 싶다(TCK)”라고 응답하였으며, 다른 그룹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좋은 수업을 진행하는 역량을 얻고 싶다(TPK)”라고 응답하였다. TCK의 응답을 한 예비 교사는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대하여 긍정적이며 발전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TPK의 응답을 한 예비 교사는 부정적이거나 반성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한편 예비 교사들은 인문학, 사회과학적 주제로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하여 어려움을 갖고 있었으나, 이 연구에서의 강의를 수강하는 과정에서 그와 같은 어려움이 해소되는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 예비 교사들은 TPACK 발달 단계를 고려한 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TPK보다는 TCK 역량 발달을 원하는 예비 교사가 좀 더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인문학, 사회과학적 주제로 이루어진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이 개선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역량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예비 교사 교육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10 pre-service teachers from a teacher training university lo cated in a mid-sized city regarding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after participating in lectures designed based on the TPACK developmental stages.
Methods To achieve this, a 15-week lectur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research, considering the TPACK developmental stages. Subsequently, data were collected from pre-service teachers, including their tech nology-integrated lesson objectives, group lesson rehearsal observation reports, and reports on the development of their technology integration competencies. The pre-service teachers’ lesson objectives for technology-in tegrated instruction were rephrased and categorized into two main themes, and their perceptions of technology were analyzed. Additionally, changes in their preconceptions and perspectives on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were examined using the group lesson rehearsal observation reports and the competency development reports.
Results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objectives for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revealed two dis tinct groups. One group responded with a desire “to develop the ability to creat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technology (TCK),” while the other expressed a goal “to gain the ability to conduct effective lessons using technology (TPK).” Pre-service teachers in the TCK group demonstrated positive and progressive perceptions of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In contrast, those in the TPK group exhibited negative or reflective perceptions. Additionally, pre-service teachers initially faced challenges in conducting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on topics relate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owever, throughout the lecture program in this study, they experienced a shift in perception,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aimed to develop TCK competencies rather than TPK competencies through the lecture program based on TPACK developmental stages held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Additionally, their perceptions of conducting technol ogy-integrated lesson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pics showed notable impro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better support the development of competencies required for effective technology-integrated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Turkish Onlin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TOJET
-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beliefs
-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 Pearson Higher Ed
-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 Educational technology, teacher knowledge, and classroom impact: A research handbook on frameworks and approaches
- Teachers College Record
- Journal of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 Contemporary Issues i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 Sustainability
-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 Computers &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er
- Harvard Educational Review
- Cognition and Instruction
-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