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 재활경험

이용수 121

영문명
Experiences of Rehabilitation of Female with Mental Illness in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희(Gyung Hee Kim) 최유진(Yoo Jin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333~34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지역사회전환시설에 입소한 여성정신질환자의 재활경험에 대해 심층적 탐색 및 현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도출된 여성정신질환자의 재활 경험을 토대로, 정신질환자를 위한 정신재활 교육 및 자립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입소자를 이해하기 위한 종사자용 교육 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지역사회전환시설에 퇴소한 여성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snowball sampling 방식을 통해 2022년 11월 4일부터 2023년 2월 24일까지 자료의 포화가 될 때까지 11명을 심층면담으로 자료 수집하였다. 여성정신질환자와 일대일로 60-120분간 심층면담을 통해, 입소경험을 통해 정신재활경험의 의미를 Colaizzi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주제모음, 주제의 범주화 단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재활경험은 의 5개의 범주와 11개의 주제모음으로 도출되었다. 5개의 범주는 ‘규칙적인 일상생활 유지’, ‘사람과의 관계 시도’, ‘건강관리의 중요성 인식’, ‘제한과 선택의 경계’, ‘자립생활의 첫걸음’이었다. 참여자는 안전과 치료 중심의 정신병동과 자기결정권을 강조하는 정신질환자 공동생활가정의 중간단계로 지역사회전환시설에서 재활을 경험하였다. 결론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에서 재활경험을 토대로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입소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자료, 그리고 종사자를 위한 교육 자료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epth th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female with mental illness admitted to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an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Based on the rehabilitation experiences of female with mental illness, mental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self-reliance training programs for female with mental illness are developed, and they ar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 ucational materials for workers to understand residents. Methods For female with mental illness discharged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1 people from November 4, 2022 to February 24, 2023,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until data satur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one-on-one with female with men tal illness for 60-120 minute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through the admission experience was analyzed in the stages of theme collection and categorization according to the Colaizzi phenom enological method. Results The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female with mental ill in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was derived into 5 categories and 11 thematic collections. The five categories were ‘maintaining regular daily life’, ‘at tempt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health management’, ‘the boundary between restrictions and choices’, and ‘the first step in independent life’. Participants experienced rehabilitation in com munity transition facility as an intermediate stage between psychiatric ward centered on safety and treatment and group homes for people with mental ill that emphasize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female with mental illness in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rehabilit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residen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transition facility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울: 학지사
  •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한국웰니스학회지
  • 상담학연구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청소년학회
  • 청소년대화의광장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 교류논문지
  • 교육인류학연구
  • 교정복지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상담심리교육복지
  • 상담학연구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동서정신과학
  • 서울 학지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 상담학연구
  • 상담학연구
  •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동서정신과학
  • 교육혁신연구
  • 상담학연구
  • 교육 치료연구
  • 인간이해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 상담학연구
  •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 김인규 역 (2014). 성장하는 상담전문가의 길. 서울 학지사
  • 김명권 김창대 박애선 전종국 천성문 공역
  • Frontiers in Psychology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Practice, Training
  • Counselling Psychology Quarterly
  • The European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 JMIR Mental Health
  •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 American Psychologist
  • Advances in Nursing Science
  • Guilford Press
  •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희(Gyung Hee Kim),최유진(Yoo Jin Choi). (2025).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 재활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2), 333-348

MLA

김경희(Gyung Hee Kim),최유진(Yoo Jin Choi). "여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전환시설 재활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2(2025): 333-34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