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i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나리(Naree Song) 조덕주(Dukjoo J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209~2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각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개발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비교과교육과정이 개발·운영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사례 연구로서 연구 방법의 절차는 연구 기획, 연구 승인, 자료 수집, 자료 분석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인터뷰는 충청권 N대학, 강원권 K대학, 서울 K대학을 대상으로 4가지 영역(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담당 부서,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의 기대,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방법,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고충 및 해결 방법) 총 15개의 질문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담당 부서는 모두 존재하긴 하나 그 형태에는 차이가 있었다.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대학의 기대는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을 주로 반영하고 있었으며, 비교과교육과정 운영 방법은 전공·교양·비교과를 연계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비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고충 및 해결 방법으로는 비교과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결론 충청권 N대학, 강원권 K대학, 서울 K대학은 각 영역별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고, 대학별 비교를 통해 비교과교육과정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development, and the operation of extra curricular curricula at each university to extract implications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ys tematic and effective extracurricular curriculum.
Methods As a case study, the research methodology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research planning, research approval,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t N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 ince, K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and K university in seoul. a total of 15 questions were asked across four key areas: the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the university's expectations for the ex tracurricular curriculum, the methods of operating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and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related to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Results Although all universities had departments responsible for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the form of de partments were in difference. The university's expectations for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imarily reflected the type of talent the institution aimed to cultivate and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was operated by integrating the major, liberal arts, and extracurricular departments. The lack of awareness regarding the extracurricular curric ulum was pointed out as the biggest issue, along with the challenges and potential solutions related to it.
Conclusions N university in chungcheong province, K university in gangwon province, and K university in seoul ha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ch area and through comparison by universit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stable operation of the comparativ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사례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간호학 탐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교양교육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 대학담론과 쟁점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정보시스템연구
- 동향과 전망
- 교육혁신연구
- 교육문제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교양교육연구
- 학습자 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양교육연구
- 문화와 융합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문화와 융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