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behavior: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maladjustment and group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혜(Jihye R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97~11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 폭력 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학교 부적응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충남 소재 일개 군의 청소년 527명을 대상으로 학교 안전 인식 설문 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PROCESS Macro for SPSS 4.0을 적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인 피해 경험, 소외경험, 일탈 행태가 종속변수인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학교 부적응의 매개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부트스트레핑 기법을 사용하여 간접 효과의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
결과 폭력 피해 경험, 소외경험, 일탈 행태, 학교 부적응은 모두 폭력 가해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폭력 피해 경험은 폭력 가해 행동의 가장 큰 예측 변수로 확인되었고, 소외경험과 일탈 행태는 상호작용을 통해 폭력 행동을 촉발할 수 있는 요인임을 보여주고 있다. 학교 부적응은 매개 효과를 통해 이러한 변수들이 가해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의 비교 결과, 중학생은 일탈 행태의 영향이 크고, 고등학생은 폭력 피해 경험의 직접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폭력 가해 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요인을 분석하고, 학교 부적응의 매개 효과를 밝혀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의 차별화된 개입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적, 정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표본의 일반화 가능성과 종단적 연구설계의 적용이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violent perpetrative behavior in ado lescence,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maladjustment, and compare differences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cohorts.
Methods The data from the school safety perception survey of 527 adolescents in one county in Chungnam prov ince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analysis was conducted by regress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4.0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f victimization, alienation, and deviant behav ior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perpetrative behavior using the mediator of school maladjustment. Bootstrapping technique was used to estimate the confidence intervals of the indirect effects.
Results Victimization, alienation, deviant behavior, and school maladjustment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io lent perpetration behavior. Violent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identified 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violent perpetration behavior, while marginalization experience and deviant behavior interacted to trigger violent behavior. School maladjustment, through its mediating effect, reinforces the pathway of these variables to perpe trative behavior. Comparisons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 populations show that middle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deviant behavior, while high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 direct effects of violent victim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nalyzes the multidimensional determinants of violent perpe trative behavior in adolescence, reveals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maladjustment, and suggests the need for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us providing educational and policy foun dations for violence preven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improv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sample and the appli cation of a longitudinal study desig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방법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미래교육연구
- 청소년복지연구
- 청소년문화포럼
- 청소년학연구
- 교육학연구
- 미래교육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청소년학 연구
- 한국아동복지학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Child Development
-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 Communication Monographs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 Aggressive Behavior
- Blackwell Publishers
-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 Behavior Research Methods
- Psychological Methods
- Cyber Psychology & Behavior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