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0

영문명
The Impact of Problem-Solving Discussion and Practice-Based Theory and Practice of Play Classes on Pre-Service Teachers' Playfulness, Play Perception, and Play-Teaching Effica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미애(Miae Jeong) 권정윤(Jeong-yoon K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2호, 53~7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놀이지도 수업에서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참여한 예비교사들의 수업에 관한 생각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A대학의 2024년 1학기 ‘놀이지도’를 수강한 25명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2024년 3월 19일부터 2024년 6월 4일까지 13주간 연구를 실시하였다. 놀이지도 수업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의 질문지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문항 간 신뢰도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서 첫째,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놀이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나와 다른 의견의 시각의 동료와 함께 고민하고 토론할 수 있었던 경험,‘놀이’에 대한 현장교사와의 시간과 놀이지원방법을 실연할 수 있었던 경험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동료 간 협업을 통해 바람직한 놀이지원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수업방식으로서의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 ‘problem-solving discussion and practice-based’ Theory and Practice of Play class on pre-service teachers' playfulness, play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s well as to explore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s on the cours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13 weeks, from March 19, 2024, to June 4, 2024, with 25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Play’ class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24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re- and post-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changes in playfulness, play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urs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 em ploying frequency analysis, item reliability testing, and paired-sample t-test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problem-solving discussion and practice-based Theory and Practice of Play clas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n pre-service teachers' playfulness, but i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lay percep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positively regarded their experiences of discussing and deliberating with peers who had different viewpoints and of demon strating play support methods with field teachers during the cours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effects of problem-solving discussion and prac tice-based play theory and practice classes as a way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play edu cation efficacy, and ability to find desirable play support methods through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인문사회 21
  •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한국유아교육학회 년 2019 춘계정기학술대회
  • 인문사회 21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 한국보육학회지
  • 유아교육학논집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교육연구논총
  • 한국영유아보육학
  • 유아교육학논집
  • 서울 창지사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
  • 열린유아교육 연구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사회융합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창의력교육연구
  • 육아지원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 인문사회21
  • 유아교육연구
  • 유아교육연구
  • 영유아교육과정연구
  • 아동교육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혁신연구
  • 아동교육
  • 열린교육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수사학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인하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부경대학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아교육연구
  • 파주 양서원
  • 육아지원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인문 사회21
  • 유아교육연구
  • 교양교육연구
  • 열린유아교육연구
  •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양: 공동체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 Critical models: Interventions and catchwords
  • Science Teacher Education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 Play: It's role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Psychological Reports
  • OTJ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 Early Years
  •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미애(Miae Jeong),권정윤(Jeong-yoon Kwon). (2025).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2), 53-70

MLA

정미애(Miae Jeong),권정윤(Jeong-yoon Kwon). "문제해결식 토론 및 수업실연 중심의 놀이지도 수업이 예비교사의 놀이성, 놀이인식,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2(2025): 53-7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