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신입생의 적응유형 분류와 영향 요인 탐색: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456

영문명
Classification of University Freshmen's Adaptation and Exploration of Influencing Factor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노혜숙(Hey-Sook RHO)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6호, 27~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적응 잠재집단 유형을 파악하고, 유형별 대학적응수준 차이 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K대학 신입생 3601명을 대상으로, 자기 통 제력, 목표 지향성, 자존감, 학업적 부담, 친밀한 대인관계, 가정내 지지를 측정하고,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 유형별로 대학 적응 수준 차이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응역량 유형은 저역량, 중간역량, 고역량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저역량 집단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대학 적응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반면 중간역량 집단과 고역량 집단 간에는 적응 수준에서 차 이가 없었다. 모든 유형에서 적응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부담이 었으며, 역량 수준이 낮을수록 자존감이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신입 생의 적응역량 유형과 적응 수준과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효과적인 적응 지원방안을 마 련하는데 고려해야 할 점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s latent profile types of university freshmen's adaptation and examines differences in adaptation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A total of 3,601 freshmen from K University were assessed for self-control,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cademic stress,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 support. Latent profile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ree adaptation types: low-capacity, mid-capacity, and high-capacity groups. The low-capaci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daptation levels,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id- and high-capacity groups. Academic stres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adaptation across profiles, with self-esteem playing a more critical role in the low-capacity group. These results provide insights for effective, tailored adaptation support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청소년학연구
  • 교양교육연구
  • 교육과학연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 사회과학연구
  • 인사이 트
  • 교육심리연구
  •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 한국모자보 건 학회지
  • 한국콘텐츠 학회 논문지
  • 청소년상담연구
  • 교양교육연구
  • 한국 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한국생활과학회지
  • 인문사회21
  •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역 량개발학습연구
  • 상담학연 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발달지원연구
  • 상담학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공 학교육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 스트레스 연구
  •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국언론학보
  • 한국콘텐츠 학회 논문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 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 한국컴퓨 터정보학회논문지
  • 보건사회연구
  • 정신간호학회 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 한국콘텐츠 학 회 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학교생활 연구
  • 문화와 융합
  • Psycho Bull
  • Psychosomatic medicine
  • Psychological Bulletin
  • New York: W. W. Norton &Company, Inc.
  • Cambridge, UK:Cambridge University Press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Child Deve
  • Canadia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 BMC Psychology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 Social Psychology: Sociological Perspectives
  • Journal of Personalit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혜숙(Hey-Sook RHO). (2024).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신입생의 적응유형 분류와 영향 요인 탐색: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11 (6), 27-44

MLA

노혜숙(Hey-Sook RHO).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대학 신입생의 적응유형 분류와 영향 요인 탐색: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상담심리교육복지, 11.6(2024): 27-4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