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inese Consumers’ Intentions to Reuse for Health Functional Foods : Focusing on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and Health Belief Model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류미현(Mi Hyun Ryu) 이영희(Younghee Le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4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중국의 경우 생활 수준 향상과 건강에 관한 관심 증대 및 코로나19로 인하여 소비자들이 건강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게 되면서 건강식품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치기반수용모델과 건강신념모델을 기반으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재이용의도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조사는 건강기능식품 이용 경험이 있는 중국의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온라인으로 실시하였으며, 250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치기반수용모델 관련 변수 중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그리고 지각된 비용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또한 지각된 가치는 재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건강신념모델 관련 변수 중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이 건강기능식품 재이용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 이용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에 대한 이해를 고취했으며, 건강에 대한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서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행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가 소비자 지향적인 사회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또한, 기업 측면에서도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China, the demand for healthy food is expected to grow as rising living standards, increased health concerns, and the COVID-19 pandemic motivate consumers to invest in their health.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intention of consumers to reuse health functional foods through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and Health Belief Model.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adult consumers in China who had experience using dietary supplements, and the hypotheses were confirmed using data from 250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co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perceived value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use intention. Second,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belief model, perceived severity an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use intention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s.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related to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Thus, it will be useful as a basis for building a consumer-centered social environment in this era of increasing social concern for health. Furthermore, the research will also be helpful for businesses to formulate consumer-oriented marketing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