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on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택수(Taek Su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4호, 129~15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도시 주거 난개발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어, 현재까지도 주거환경의 상대적 격차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삶의 성숙기인 중년 층은 오랜 기간 이러한 주거 문제와 맞닥뜨리며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주거환경 요소를 분석하여 주거복지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인당 주거면적, 필수설비, 주거의 구조・성능 및 환경이 중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가설을 설정한 뒤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인당 주거면적이 좁을수록 중년기 성인의 우울 수준이 높다’, ‘주거의 구조・성능 및 환경이 미흡할수록 중년기 성인의 우울 수준이 높다’는 가설이 유의미하게 지지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거복지 정책의 개선 방향과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인구의 감소 및 저성장시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재생사업이 부각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도시재생 사업 추진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신시가지 위주로 대규모 택지개발 및 아파트 공급은 구도심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점차 택지개발 지역 및 신규 공급 아파트로 이전하기 시작하면서 구도심 지역의 공동화 현상은 점차 심각화 되었다. 도시 재생사업 추진에 있어서 지역 주민들이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적인 도시재 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South Korea's rapid economic growth has exacerbated wealth disparities in urban housing, leading to persistent relative inequality in housing environments. Middle-aged adults, experiencing this life stage as a period of maturity, have endured prolonged exposure to housing issues, resulting in increased mental distress. However, institutional support to address these issues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ysical housing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among middle-aged adults and to identify directions for housing welfare policies. To achieve this,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housing area, essential facilities, and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quality on depression levels in middle-aged adult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es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support for two hypotheses: “A smaller housing area is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levels among middle-aged adults” and “Inadequate structural qua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correlate with increased depression in this demographic.”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potential directions for housing welfare policy improvements and suggests area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물리적 주거환경과 중년기 성인의 우울 간의 이론적 관계
Ⅲ. 연구 설계와 방법론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