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structural factors of housing price fluctuations : Focusing on Time Series and Breakpoint 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장영길(Young Gil Chang)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74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주택가격 변동 요인이 시간에 따라 다르다는 가설로, 수급률, 전세가격, 통화량 등의 요인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23년까지의 시계열 데이터로, 수도 권과 지방권을 나누어 시계열과 분기점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자기회귀 시계열 분석(ARIMAX) 결과, 수도권에서는 수급이 주택가격에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지방권에서는 자기회귀와 전세가 주요 변수로 확인되었다.
분기점 회귀 분석(BREAKLS)의 결과, 침체기에는 매매와 전세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상승기에는 수도권에서 수급률이 매우 강한 유의성을 보였으며, 지방에서는 수급률과 통화량이 유의미한 변수로 나타났다. 특히 가격상승률 높은 수도권에서는 수급률이 주택가격 결정의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time series analysis (ARIMAX) indicate that housing supply-demand balance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le autoregressive terms and jeonse prices were identified as key factors in non-metropolitan regions.
In the breakpoint regression analysis (BREAKLS), during the downturn period, sale prices and jeonse prices were significant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During the upturn period, supply-demand balance exhibited a strong influence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supply-demand balance and money supply were significant in non-metropolitan areas. Notably, in the highly volatile metropolitan area, supply-demand balance was confirmed as a critical determinant of housing prices during the upturn perio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모형 설정과 데이터 분석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