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dentity and Art Consumption through a Micro-Sociological Lens : An Ethnographic Study of Urban Yuppies in Dongshankou, China
이용수 38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양치(Qi-Yang) 김인설(InSul Kim)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3호, 55~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중국의 대표 도시 중 하나인 광정우의 동산구는 과거 상류층과 해외 문화가 융합된 지역으로, 중국 전통과 서양 문화가 독특하게 혼재된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지역의경제, 사회,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 역할을 견인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지역의 젊은 예술소비 계층으로 등장한 동산구에 거주하는 여피족(Yuppies)은 이들의 집단 정체성과 예술소비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데 있어 유의미한 사례를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예술 소비중에서도 특히 미술 작품의 구입이 이들의 집단적 정체성 형성과 유지에 어떠한 기여를하는가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urke와 Stets의정체성 이론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정체성 형성과 예술소비의 상호관계를 미시사회학적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지료의 수집은 문화기술지 방법론을 바탕으로 소득, 교육, 직업 등을기준으로 선정된 22명의 동산구 여피들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인터뷰를 연구방법으로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소비는 이들의 정체성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존감을높이며, 공동체적 소속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작품의 구입은이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긍정하고 검증하는 사회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이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기술지적 관점에서 집단 내 형성된 예술 소비의 행태가이들의 정체성을 집단적으로 유지하는 주요 기저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Dongshankou, a district in Guangzhou, China, represents a unique intersection of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cultures, shaped by its historical role as a hub for the upper class and foreign influence. This distinctive cultural context positions Dongshankou as a compelling case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identity and art consumption among young urban professionals (yuppie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urchase of artworks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yuppies’ identity. Utilizing Burke and Stets’ Identity Theory, the research explores the interplay between identity formation and art consumption from a microsociological perspec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thnographic methods,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2 yuppies selected based on income, education, and occupa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art consumption enhances self-esteem, fosters community belonging, and serves as a critical mechanism for identity validation. The purchase of artworks, in particular, emerges as a key tool for sustaining collective identity within this sociocultural framework.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and Methods
Ⅳ. Data Analyze
Ⅴ.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문화정책논총
-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예술경영연구
-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용예술경영연구
- Asia Marketing Journal
- 社会学研究
- 新媒体研究
- 新视野年
- 现代营销:经营版
- Qualitative research on sport and physical culture
- California
- Social psychology quarterly
-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 Social Psychology Quarterly
- Order on the edge of chaos: Social psychology and the problem of social order
- Oxford
- Inequality
- Hoboken
- Public Opinion Quarterly
- Social forces
- California
- IUP Journal of Brand Management
-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 Quarterly Review of Film and Video
- Advances in group processes
- Enterprise & society
- Asia Pacific Business Review
- Piscataway
- Journal of Art and Design Education
- Tobacco control
- New York
- Annual review of sociology
- Res Militaris
- Journal of Human Capital Development (JHCD)
- Inter-Asia Cultural Studies
- London
-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 California
- Poetics
-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 advances in group processes
- Identities in everyday life
- Handbook of the sociology of emotions: Volume II
- social psychology quarterly
- London
- Chinese Sociology & Anthropology
- Chicago
-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Durham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