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ntent industry service export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경제학회
- 저자명
- 이승희(Seunghee Lee) 이용관(Yong-Kwan Lee)
- 간행물 정보
- 『문화경제연구』제27권 제3호, 3~2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국제시장에서 한국 콘텐츠의 위상과 인기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에도 한국 콘텐츠산업의 수출 경쟁력은 국제 비교가 가능한 정량적 지표 없이 수출액이나 정성적 조사에의해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콘텐츠산업의 서비스 수출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국제 비교가 가능한 자료를 활용하여 콘텐츠 수출의 시장점유율, 현시비교우위지수(RCA), 무역특화지수(TSI)를 중심으로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 콘텐츠 수출은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19년을 기점으로 국제시장에서 비교우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향·영상 부문의 수출 경쟁력은 전체 콘텐츠에 비해 개선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2020년 이후 빠르게 강화되어 국제시장에서의 입지가 확고해졌으며, 사용료 부문의 경쟁력도 높아져 한국 콘텐츠 수출의 지속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연구는 콘텐츠산업 수출 정책 확대와 해외진출이 가능한 우수 IP 개발·확보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 콘텐츠가 국제시장에서 제도적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간접지원 정책을 확대하는 것과 해외진출 시 상대적으로 제약이 큰 음향·영상 부문 통상쟁점에 대한전략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콘텐츠 수출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해 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출 구조를 분석하는 체계적 접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ntent industry exports has been assessed by export volume or qualitative surveys without internationally comparable quantitative indicators, despite the ever-increasing status and popularity of Korean content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is study analyzed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s content industry by examining trends in market share,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RCA),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using internationally comparable data. The analysis revealed that Korea's content exports have grown steadily since 2010, achieving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global market starting in 2019. Notably, the audio-visual content sector, which initially lagged in improvement compared to overall content exports, demonstrated a sharp increase in export competitiveness from 2020, solidifying its global position. Furthermore, both the service and royalty sectors showed enhanced export competitiveness, confirming the sustainable growth potential of Korea's content industry. The study provides the need to expand export policies for the content industry and develop excellent intellectual property (IP) that can be exported overseas. The study also suggests expanding indirect support policies to help Korean content gain institutional advantages in international markets, and a strategic approach to trade issues in the audiovisual services sector, which has relatively few restrictions on overseas expansion. Furthermore, we emphasize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analyze the export structure based on detailed data to strengthen the sustainability of content exports.
목차
Ⅰ. 서 론
Ⅱ. 분석 자료 및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국제통상연구
- 콘텐츠산업 동향 브리프
- Primium Report
- Handbook of the Economics of Art and Culture
-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 The manchester school
-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 Journal of Media Economic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