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a-Analytic Path Analysis on Parenting Attitude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Contr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숙영(Sook-young Lee) 유성모(Seongmo Yoo) 양현정(Hyeon-jeo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931~94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가정환경 변인인 부모양육태도와 개인 변인인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을 설정하고, 이들 변인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가정환경 변인과 개인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이고 경로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주제로 2024년 2월까지 발표된 연구 중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및 관련 변인 간의 상관계수를 보고한 40편의 국내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적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주요 변인인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메타분석적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폰 중독과 각 변인 간의 평균효과크기는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경로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특히,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는 자기통제력 변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 변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경로와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예방과 대책을 마련하는 데 참고가 될 근거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ath leading to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by setting parent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control as the key variable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Parental attitude is considered a family environment variable, while self-esteem and self-control are individual variables. The goal is to investigate how these variables affect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oth structural and path perspectives.
Methods To this end,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was conducted on 40 domestic studies that report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ed variables among studies published up to February 2024 on the topic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A hypothetical model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namely parent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control. A meta-analytic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each variable was greatest for self-control, followed by self-esteem and parental attitude.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for all paths. Specifically, self-esteem and self-control showed ful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total effect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was found to be most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self-control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athways and influences of parenting attitudes, self-control, and self-esteem variables on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ce middle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