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f Person-centered Art Therapy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motivation of out-of-school yout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지현(Ji-hyeon Beak) 정해미(Hae-mi Jung) 박윤미(Yun-mi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153~1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과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 데 있어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수퍼비전을 바탕으로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경기도 D시에 위치한 K센터를 이용하는 학교 밖 청소년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회기당 90분씩 총 12회기의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각 회기별 관찰일지와 작품자료를 수집하고,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진로준비행동 및 학습동기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과 학습동기에 효과적인 개입 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표현과 집단 내 상호작용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사회적 기술 향상과 정서적지지 경험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간중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과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관련 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in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motivation of out-of-school youth.
Methods For this purpose, a human-center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reat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supervision, and a human-centered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provided for a total of 12 sessions of 9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four out-of-school youth using the K Center located in D-city, Gyeonggi-do.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bservation logs and work data were collected for each session, and changes in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apple picker picture test.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person-centered group art therapy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enha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learning motivation in out-of-school youth. Second, through a pre- and post-comparison of the Apple Picking Person Drawing Test, the positive impact of self-expression through art therapy and group interaction on improving social skills and experiencing emotional support among out-of-school youth was confirm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human-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motivation of out-of-school youth,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lated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