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진(Hae 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1호, 23~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낙관성과 감사성향, 사회적 지지, 전공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를 를 확인하며, 그들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긍정적 삶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B광역시 소재 간호학과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26일부터 6월 15일까지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WIN/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낙관성 정도는 성격, 지난학기 평균성적, 수면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감사성향은 연령, 학년, 성격, 수면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는 성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주관적 행복감에서는 성격, 지난학기 평균성적, 수면의 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은 낙관성, 감사성향, 사회적 지지와의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요인은 성격, 감사성향,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가장 주요한 예측요인은 전공만족도로 확인하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 마인드 개선 및 전공만족도를 높힐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Impact of Optimism,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ptimism,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support, majo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B City. By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these students' well-being, the study seek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enhancing positive living among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nursing studen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23.0.
Results An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jects' variables exhibit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optimism, gratitude disposition, social support and major satisfaction. There was of the level of significance has been on personality gratitude disposition, major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with 49.5% of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To enhance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fostering positive mindset improvement,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enhancing major satisfaction is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