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octrine of Salvation in Protestant Theology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저자명
- 박성규(Seounggyu Park)
- 간행물 정보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No.91, 159~217쪽, 전체 5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개신교 구원론을 중심으로 기독교 신학에서의 칭의론의 의미와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칭의론의 신학적 기초를 마틴 루터의 사상에서 시작하여,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의 구원 이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에큐메니컬 대화의 맥락에서 분석한다. 특히 현대 신앙과 실천적 문제들 속에서 칭의론의 중요성과 현대적 재해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통해 신학적 담론이 오늘날의 실존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들에 어떻게 응답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며, 칭의론이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서 여전히 유효한지 검토한다. 본 논문은 칭의론의 법정적 성격이 관계 회복이라는 점에서 현대적 의미를 지니며, 이를 통해 인간 존재의 실존적 질문에 응답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contemporary applicability of Protestant soteriology, focusing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It begins by grounding its theological framework in Martin Luther's thought, examining the commonalities and distinctions between Protestant and Roman Catholic understandings of salvation within the context of ecumenical dialogu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justification amid contemporary faith and practical challenges, the study advocates for its reinterpretation to address existential, ethical, and societal issues today. The paper argues that the forensic nature of justification, rooted in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holds modern relevance, offering a response to humanity's existential inquiries. This work ultimately evaluates whether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remains a central and valid tenet of Christian faith in the present day.
목차
1. 서론
2. 구원에 대한 보편적 이해
3. 개신교의 구원관: 칭의론
4. 칭의론을 넘어서 화해론으로
5. 에큐메니컬 구원론의 가능성: 칭의와 성화를 중심으로
6. 칭의론에 과한 에큐메니컬 대화의 성과와 과제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Zeitschrift für Systematische Theologi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