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Citizenship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인화(Inwha Lee) 배화순(Hwasoon Bae)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1호, 81~125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국어과 교육에서 시민교육의 방향성을 규명하고 국어교육이 시민교육과 호혜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방법: 시민교육의 요소들이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해 국어과 하위영역별 전문가들과 연구진 간 교차 검토를 하였다. 결과: 국어과 하위 영역들은 대체로 시민교육의 요소와 상당한 연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중등학교급에서 시민교육의 요소가 더 많이 반영되는 경향이 있었고, 시민의 정치 행위와 관련된 요소와의 연관성은 약했다. 결론: 향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시민교육 요소의 체계적 반영과 교육적 실천을 위해서는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시민교육의 지향을 충족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국어과 교육 내용과 방법에 디지털 시민성과 공동체 문제에의 참여 관련 요소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국어교육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의 의미를 재개념화하고 시민교육의 요소를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vised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xamine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fosters citizenship. Methods: To analyze how the elem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revised 2022 Korean language curriculum, a cross-review was conducted between experts and researchers in each subfield of the Korean language. Results: The sub-field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generally had considerable connections with elem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Overall, there was a tendency for elem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to be reflected more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and the connection with elements related to citizens’ political engagement was weak. Conclusion: In order to systematically reflect and educationally practice the elem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meet the goals of citizenship education while preserving the uniqu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orporate element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issue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reconceptualize the meaning of citizenship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fine the elem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목차
1. 서론
2. 시민교육에 대한 국어교육의 접근
3. 국어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교육의 방향성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국어교육연구
-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문학교육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어교육연구
- 시민교육연구
- 문학교육학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양교육과시민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새국어교육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어교육
- 헌법재판연구원
- 한국초등국어교육
- 교육문화연구
- 한국어문교육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청람어문교육
- 국어교육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