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Selecting Informational Texts Outside of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형성(Hyu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41호, 43~8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들이 교과서 외 읽기 텍스트를 선택하는 이유, 활용 양상, 어려움을 조사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 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뒤 기술 통계, 내용 분석을 통해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91.3%의 교사들이 교과서 외 읽기 텍스트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주요 이유로는 ‘학생의 흥미와 관심사 반영’, ‘시험의 변별력 확보’, ‘주제 통합적 읽기의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다양한 출처에서 텍스트를 구하고 있었으며, ‘텍스트의 난이도와 완성도’, ‘성취기준과의 연관성’, ‘학생의 흥미와 관심사’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그러나 ‘적절한 텍스트 탐색과 재구성’, ‘평가 활용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다양한 읽기 텍스트 목록을 제공하고, 디지털 교과서 개발과 관련해 읽기 텍스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읽기 텍스트 선정 및 재구성과 관련해 교사의 평가 자율성을 보장하고 평가 전문성을 향상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텍스트 복잡도를 측정하는 상용화된 도구를 보급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sons why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select informational texts outside of textbooks, how they utilize them,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se of extracurricular reading materials. Methods: A survey of 69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is of open-ended responses. Results: 91.3% of teachers were utilizing informational texts outside of textbooks. The main reasons identified were “reflecting students’ interests and concerns,” “ensuring differentiation in exams,” and “the necessity of thematic integrated reading.” Teachers sourced texts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books, news articles, and academic papers, and placed significant importance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and their relevance to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earching for appropriate texts, reorganizing them, and utilizing them in assessments. Conclusion: We suggest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provide diverse text examples that align with achievement standards and build a database linked to digital textbooks. Second, establish support measures to ensure teachers’ autonomy in evaluation and enhance their assessment expertise in selecting and reorganizing texts. Third, disseminate tools capable of measuring text complex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독서연구
- 청람어문교육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국어교육
- 국어교육
- 국어교육연구
- 시민교육연구
- 언어과학연구
- 독서연구
- 청람어문교육
- 청람어문교육
- 국어교육학연구
- 교육문화연구
- 우리말 교육현장연구
- 독서 연구
- 국어교육학연구
- 국어교육학연구
- 독서연구
- 국어교육연구
- 새국어교육
- 청람어문교육
- 국어교육학연구
- 한어문교육
- 새국어교육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독서연구
- Action in Teacher Education
- English Education
- RAND Corporation
- RAND Corporation
- WestEd
-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